스킨아우라

Skin aging 피부 노화 part 2, Target of anti-aging

labcaptain 2018. 11. 13. 00:17



Skin aging 피부 노화 part 2, Target of anti-aging

피부노화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 모두에 의해 유발되는 지속적인 과정으로서 내인성 및 외인성 노화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실현되고 피부의 시각적 변화를 유발한다.
이러한 경로는 일반적으로 결합조직의 변형(ex; fibrosis)과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된다. 이것은 노화된 섬유세포의 점진적인 축적이라는 특징으로 연결되는데, 이 때문에 노화된 피부의 콜라겐 생성 및 함량의 감소로 이어진다. 추가적으로 과산화물의 축적으로 인해 과도한 산화 인산화, 염증 또는 자외선의 영향으로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(MMPs)의 과도 발현 및 열충격단백질(HSPs)의 생산 감소를 포함한다.

최근에는 피부백색지방조직(dWAT)이 점점 더 특별한 지방저장소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. 이 저장소에있는 지방세포는 주변 세포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며 엄청난 표현형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. 내인적으로나 외인적으로 노화된 피부에서 dWAT 함량의 현저한 변화가 관찰될 수 있는데 특히 노화로 진행되는 피부는 섬유성 구조에 의해서dWAT 부피의 감소를 나타낸다. 이러한 관찰은 피부노화를 막기위한 전략에서 피부지방세포가 주요 연구 표적으로 자리하고 있다. 


피부백색지방조직에 있는 세포를 반응성 피부지방세포라고도 한다

이 세포를 조절하면 피부 노화에 빨리 대응할 수가 있다. 스킨아우라는 이러한 지방세포조절이론에 입각하여 개발되어진 장비이다. 스킨아우라의 RFAM테크놀로지는 세계 최초이다

http://https://www.facebook.com/navinlab/